4. Exp.(확장) : Kims & Tory

Hi 김작가 Day 2. 북한 미래 시나리오

김스토리 2024. 11. 20. 08:49

Global Creator!!!

안녕하세요.

Global Entrepreneur를 외치다가

Global Creator를 외치는

김스토리입니다.

 

세계적인 사업가로 가는 첫걸음

 

세계적인 사업가로 가는 첫걸음: 왜, 그리고 어떻게?

안녕하세요 김스토리입니다.제 목표는 세계적인 사업가가 되는 것입니다.하지만, 방법을 잘 모릅니다.그래서!미친듯이 학습해보겠습니다. 결론은 글의 하단부에 있습니다.  먼저 이만갓지입

kimstory7.tistory.com

당신의 조언은 필요 없습니다.

 

당신의 조언은 필요 없습니다.

본인에게 조언을 해주는 사람이 있나요?그 사람의 인생이 본 받을 만한가요?No 라면, Say NO 하세요.안녕하세요 김스토리입니다.제 목표는 세계적인 사업가가 되는 것입니다.하지만, 방법을 잘 모

kimstory7.tistory.com

성공한 사업가 스터디를 하며,

사업 아이템을 검토하며,

글로벌 사업가를

그려가는 와중에

뭔가 모를 심적 부담감에

부딪히는걸 느꼈습니다.

 

그러던 중

멍을 때리다가!

글쓰는 걸 좋아하고

생각하고 산책하고

궁금한 걸 찾아서 읽는걸 좋아하는!

저의 모습을 생각하면서

작가!

글을 쓰고,

웹소설에 올리고

글을 쇼츠로 만들어서

유튜브, 릴스, 틱톡에 올리고

영어로 만들어서

세계로 나아가자!

 

네! 한번 해보겠습니다

렛츠 꼬!

 

결론은 글의 하단부에 있습니다.

=======

지난 포스팅에서 

북한이 붕괴 이후의 세상에 대해

봤었는데요.

 

이번에는

좀 더 세밀하게

미래의 시나리오를 그려보겠습니다.

==============

* 북한의 미래에 대한 전망

 

북한의 미래에 대한 전망은 여러 변수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정치, 경제, 외교, 사회적 측면에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 정치적 측면

  • 권력 구조 안정성: 북한은 김정은 체제 아래에서도 1인 독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권력 승계와 내부 엘리트 간의 갈등이 체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시나리오 1: 김정은 체제가 안정적으로 지속될 경우, 강력한 통제와 내부 결속을 통해 체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시나리오 2: 권력 승계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외부 요인이 가해질 경우 내부 불안정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개혁 가능성: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이 점진적인 개혁·개방을 선택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식 모델을 참고하거나 제한적인 경제 개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경제적 측면

  • 제재 지속 여부: 국제사회의 경제 제재가 지속될 경우, 북한 경제는 자력갱생에 의존할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제재 회피와 내부 시장화가 경제 구조를 조금씩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 내부 시장화: 장마당(비공식 시장)의 확대는 경제 구조를 비공식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 외부 지원: 중국, 러시아와의 경제 협력이 강화될 가능성도 있지만, 이들 국가의 전략적 이해관계에 따라 지원의 지속성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기술 발전과 산업화: 군사 및 IT 기술에 집중한 발전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사이버 기술과 무기 개발은 경제적 압박을 극복하는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외교적 측면

  • 중국과의 관계: 중국은 북한의 주요 동맹국으로 남아있지만, 북한의 지나친 의존은 장기적으로 자주권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 미국과의 관계: 북미 관계는 북한의 외교적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핵 문제 해결 여부와 제재 완화가 관계 개선의 핵심입니다.
  • 남북 관계: 남북 통일 논의는 북한의 경제적 및 정치적 상황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습니다. 남북 협력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지만, 북한의 정권 안정성을 위협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진행될 것입니다.

4. 사회적 측면

  • 정보 확산: 북한 주민들에게 외부 정보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내부 의식 변화가 진행 중입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체제에 도전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인구 변화: 북한의 낮은 출산율과 인구 고령화는 경제와 군사력에 영향을 미칠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미래를 결정짓는 변수

  1. 국제 사회의 태도: 북한에 대한 제재와 협상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2. 김정은 체제의 의사결정: 김정은이 개혁을 단행할지, 기존 체제를 유지할지가 중요한 변수입니다.
  3. 내부 저항: 주민들의 의식 변화와 불만 수준에 따라 체제 변화가 촉진될 수 있습니다.

결론

북한의 미래는 현재의 권위주의 체제를 유지하거나, 외부와의 협력을 통해 개혁으로 나아가는 두 가지 주요 시나리오가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의 폐쇄성과 국제 관계의 복잡성이 이러한 미래를 불확실하게 만듭니다. 장기적으로는 외부 정보 유입, 경제 구조의 변화, 국제사회의 압박과 같은 요인들이 체제 변화를 촉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Q. 북한 주민들의 불만 지수와 불만을 가진 주민의 비율

"北 주민·간부 80% 불만"...사라진 충성심에 김정은 '위태' [Y녹취록] / YTN 24년9월 뉴스

 

북한 주민들이 김정은한테 불만 표출하기 시작한 이유 (강동완 교수 1부) 24년 9월

 

Q. 연도별 탈북자수

연도별 입국 현황:

  • 1998년 이전: 947명
  • 2000년: 310명
  • 2001년: 1,043명
  • 2009년: 2,914명 (최고치)
  • 2012년: 1,502명
  • 2019년: 1,047명
  • 2020년: 229명
  • 2021년: 63명
  • 2022년: 67명
  • 2023년: 196명

2023년까지의 누적 탈북민 수는 약 34,078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성별 비율:

여성 탈북민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2023년 기준 전체의 약 7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동향: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부터 탈북민 수가 급감하였으나, 2023년에는 196명이 입국하여 다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출신 지역:

탈북민의 주요 출신 지역은 북·중 접경 지역인 양강도와 함경도가 70%를 차지합니다.

 

연령대:

2023년 입국한 탈북민 중 절반 이상인 99명이 20~30대였습니다.

 

탈북 동기:

'북한 체제가 싫어서'라는 이유가 22.6%로 가장 많았으며, '식량 부족'은 21.4%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러한 통계는 북한의 내부 상황과 국제 정세에 따라 탈북민 수와 특성이 변동됨을 보여줍니다.

 

 

 

==============

$ 주제 및 방향성

1. 글의 주제 정하기

- 주인공 설정

- 성공하는 스토리의 요건 스터디

 

북한의 붕괴 이후

회귀물?

투자

 

참고. 월스트리트 회귀물, 부잣집 막내아들

 

$ 결론

Q. 왜 작가가 되려고 하는지 계속 생각하기

* 붕괴 이후의 세계에 대한 시나리오

- 북한민주공화국 탄생

- 통일된 대한민국

* 현재 인기있는 웹소설의 테마 및 구조

* 유통방안

- 웹소설 업로드

- 쇼츠 드라마 제작(영상 AI 활용)

- IP로 영화, 드라마 제작

- 수출

 

https://www.youtube.com/watch?v=lz8KsGA1OqM